다가오는 가을 지원을 준비하고 있든, 앞으로의 입시 과정을 내다보고 있든, 아마도 “holistic review(종합적 평가)”라는 표현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컬럼비아대 입학처는 평가 방식을 설명하며 이렇게 말합니다.
“종합적 평가 방식을 통해 입학 사정관은 지원자의 답변을 신중히 검토하며, 컬럼비아 학생들의 특징인 지적 호기심, 역동성을 찾습니다.”
프린스턴대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대학의 입학 과정은 지원자의 전체 서류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포함합니다. 특정 요소에 고정된 비중을 두지 않고, 개인의 재능, 성취, 프린스턴 학문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고도로 개별적으로 평가합니다.”
다트머스대 역시 강조합니다.
“종합적 입학 심사는 ‘전체는 부분의 단순한 합보다 크다’는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이 생각은 다트머스의 전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사실상 거의 모든 미국 명문대가 지원자 평가 방식을 “holistic review”라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이 말이 흔히 쓰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지원자와 학부모들은 종합적 평가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혼란스러워합니다. 그렇다면 최상위권 대학들이 지원자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무슨 뜻이며, 학생들의 지원 전략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Holistic Review(종합적 평가)”란 무엇인가?
이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최근 대법원의 소수자 우대 정책(affirmative action) 금지와 입학 공정성에 대한 논란 속에서 아이비리그와 최상위 대학들이 이 방식을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종합적 평가는 대학이 학생의 정체성, 경험, 학업 성취, 비교과 활동 등 다양한 정보를 한데 고려하도록 합니다. 특정 요소(예: 인종, 시험 점수, GPA, 고급 과목 수강 여부 등)에만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특정 영역의 약점이 곧장 탈락 요인이 되지 않으며, 반대로 한두 가지 강점만으로도 합격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2024–25 지원 주기에 펜실베이니아대는 72,000건 이상, 예일대는 50,000건 이상, 컬럼비아대는 약 60,000건의 지원서를 받았습니다. 이처럼 방대한 양의 지원서를 과연 입학 사정관이 모두 개별적·심층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까요?
간단히 말해, 그렇지 않습니다. 종합적 평가라고 해서 지원자의 모든 배경과 경험을 장시간 세밀하게 분석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대학마다 차이는 있지만, 이 개념이 실제로 의미하는 바와 지원 전략에 미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학생은 자신에게 주어진 기회 속에서 평가된다.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는 대학이 지원자의 GPA, 성적표, 활동, 시험 점수 등을 단순 비교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최상위 대학들은 학생이 속한 학교·지역의 맥락 속에서 지원서를 봅니다. 예를 들어, 브라운대는 “우리는 각 지원자의 서류를 전체적으로, 그리고 맥락 속에서 본다. 고등학교에서 주어진 자원과 기회 속에서 무엇을 성취했는지를 확인하고, 브라운에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평가한다”고 밝힙니다.
즉, 학생의 학교에 AP나 IB 과정이 없다면 이를 불이익으로 보지 않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사립 명문 고교에 다니는 학생이라면 단순히 수업만 듣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동아리 창립이나 독창적인 프로젝트 등 스스로 기회를 만들어내야 두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반면 시골 지역 공립학교 학생이라면 소규모 프로젝트나 적은 수의 비교과 활동만으로도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입학 사정관들은 이렇게 묻습니다.
- 주어진 환경 안에서 스스로를 얼마나 밀어붙였는가?
- 지적 기회와 도전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섰는가?
2. 성적과 시험 점수만 보지 않는다.
매년 “수석 졸업생이 명문대에서 떨어졌다”는 기사가 화제가 됩니다. 하지만 성적과 점수는 입학 심사의 기본 요소일 뿐, 합격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코넬대 입학처는 명확히 말합니다.
“GPA와 시험 점수의 조합만으로 합격이 보장되는 공식은 없다. 우리는 학생의 성적표와 시험 성취도를 보지만, 그 이상을 평가한다.”
즉, 종합적 평가는 과학이 아닌 ‘예술’에 가깝습니다. 수치화된 성적뿐만 아니라 활동, 에세이, 추천서에서 드러나는 질적인 면이 함께 고려됩니다.
3. ‘적합성(fit)’을 본다.
종합적 평가는 학생 개인뿐 아니라, 그 학생이 해당 대학의 가치·사명·필요와 얼마나 맞는지도 봅니다. 대학은 단순히 스펙이 화려한 학생을 뽑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학년 집단을 구성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따라서 합격자는 고등학교 배경과 자원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지원하는 대학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또, 특정 학과의 수요와 필요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STEM 학과는 여성 지원자를 늘리려 할 수 있고, 정치학과는 이미 지원자가 넘치는 반면 PPE(정치·철학·경제) 같은 특수 전공은 더 많은 지원자를 원할 수 있습니다.
학생은 이러한 내부 사정을 알 수 없지만, 자신이 그 대학과 프로그램에 얼마나 잘 맞는지 전략적으로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입학 사정관들은 “완벽한 학생”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지적 호기심이 있고, 공동체 지향적이며, 그 대학에 잘 어울리는 학생을 찾습니다.
종합적 평가는 동시에 안심이 되면서도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원리를 이해하면, 학생들은 자신만의 이야기를 전략적으로 만들어내어 입학 사정관의 눈에 띌 수 있습니다.
Share article